기술블로그를 티스토리에 만들겠다고 마음먹고 첫 포스팅.
안드로이드 개발 업무를 맡고 있기에 첫 포스팅은 안드로이드에 대한 내용을 작성한다.
뭐부터 해야할지 고민할 것도 없이 당연히 안드로이드 스튜드오 설치부터 시작해본다.
다시 처음부터 설치하면서 하기는 귀찮으니 예전에 포스팅했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한다.
무려 2년 전에 포스팅했던 내용 우려먹기 시전..ㅋㅋ
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란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위해 만들어진 프레임워크.
몇 년 전만해도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위해서는 이클립스를 설치하고,
이클립스의 마켓에서 SDK를 다운받아 설치하고 적용해야 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나오면서 세상 편해짐. ㄹㅇ 신세계 영접...
사용해보면 얼마나 편해졌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지금도 점점 편해지고 있음)
2.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다운로드
먼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운로드를 받아야 한다.
다운로드 사이트는 다음 링크를 타고 들어가서 받으면 된다.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hl=ko
사이트로 들어가면 이와 같은 페이지가 나온다.
여기서 Download Android Studio 버튼을 클릭하면
약관 동의 후 다운로드 진행이 가능하다.
3.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다운로드 받았으면 이번에는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는 별거 없다. 그냥 계속 Next 버튼만 눌러주면 완료.
본 포스팅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부분 이미지는 2021.05.24. 기준 자료이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최신버전 설치도 크게 다른 점이 없다.(설치방법은 동일함.)
설치가 끝나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한다.
이건 데이터 공유 관련 내용. 구글의 데이터 수집에 동의 하는지 묻는 것.
웬만하면 동의하고 데이터를 보내는 것으로 선택한다.
Don't send를 눌러도 사용하는데 큰 지장은 없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하면 이제 커스터마이징을 한다.
처음 시작했을 때에는 이클립스에 익숙해서 밝은 테마인 IntelliJ를 고집했었는데,
언젠가부터 눈이 피로해지는 것이 하루가 다르게 느껴져서 어두운 테마인 Dracula로 선택했다.
테마 설정은 개인 취향이니 여러분이 익숙한 것으로 사용하면 된다.
4. SDK 설치
사실 예전에는 SDK 설치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한 후,
SDK Manager에서 필요한 SDK를 직접 다운로드 받았었는데,
요즘엔 프로그램을 처음 시작하면 알아서 세팅을 다 해준다.
세상 편해진 것을 느낀다.
현재 버전에 맞는 SDK를 알아서 설치해준다.
더 필요한 것이 있으면 SDK Manager에서 추가로 설치하면 된다.
SDK 설치가 끝나면 이제 드디어 첫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Create New Project 메뉴를 클릭하여 첫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첫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Empty Activity를 선택한다.
프로젝트 이름 Hello를 입력하고 마무리하면,
지겹도록 많이 봤던 Hello World가 생성된다.
이렇게 안드로이드 앱 개발 환경 설정이 끝난다.
(더 필요한 것들이 있다면 SDK Manager를 적극 활용합시다!)
'Android > Android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자바코드 레이아웃 구현 (0) | 2023.01.09 |
---|---|
안드로이드 기본 레이아웃 LinearLayout, RelativeLayout, FrameLayout (0) | 2023.01.06 |
안드로이드 기본 위젯 TextView, Button, EditText, ImageView (0) | 2023.01.05 |
안드로이드 사용자 인터페이스 살펴보기 (1) | 2023.01.04 |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기본 구조 (0) | 2023.01.04 |
댓글